본문 바로가기
protocol

[동물실험] Rat의 Vaginal Smear 방법 및 이론

by 날마다감사 2025. 3. 25.

Rat의 Vaginal Smear 이란

Vaginal smear(질 도말 검사)는 실험용 랫트(Rattus norvegicus)의 생식주기를 평가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 랫트의 발정 주기(estrous cycle) 단계를 파악하고, 호르몬 변화 및 생식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1.  Vaginal Smear 이론적 배경

 

 

(1) 랫트의 발정 주기(Estrous Cycle)

랫트의 발정 주기는 평균적으로 4~5일이며, 다음의 4단계로 구분됩니다.

  1. Proestrus (전발정기, 전발정)
  2. Estrus (발정기, 발정)
  3. Metestrus (후발정기, 발정후기)
  4. Diestrus (발정간기, 발정휴지기)

각 단계는 질세포의 형태 및 비율에 따라 구분되며, 이를 통해 개체의 생식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Vaginal Smear 채취 및 분석 방법

 

(1) 준비물

  • 멸균된 면봉 또는 파스퇴르 피펫
  • 멸균 생리식염수(0.9% NaCl)
  • 유리 슬라이드 및 커버슬립
  • 현미경 (광학현미경, x10 및 x40 배율)
  • 염색약(옵션: Giemsa stain, Methylene blue 등)

(2) 실험 방법

  1. 샘플 채취
    • 멸균 생리식염수를 담은 파스퇴르 피펫(혹은 면봉)을 준비합니다.
    • 피펫 끝을 랫트 질 입구에 부드럽게 삽입한 후, 생리식염수(약 0.1mL)를 주입 후 다시 흡입하여 세포를 채취합니다.
    • 피펫을 2~3회 반복하여 질세포를 충분히 수집한 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도말합니다.
  2. 건조 및 염색
    • 도말된 샘플을 실온에서 자연 건조합니다.
    • Giemsa 염색법, Methylene blue 염색법 등을 사용하여 세포를 염색할 수 있습니다(염색은 필수는 아님).
  3. 현미경 관찰
    • 10배(x10) 또는 40배(x40) 배율로 질세포를 관찰합니다.
    • 각 발정 단계별 세포 형태를 확인하여 분석합니다.

 

 

3. 발정 주기 단계별 질세포 형태

 

(1) Proestrus (전발정기)

  • 세포 형태: 다핵상피세포(중간세포 및 핵이 큰 세포)
  • 특징: 핵이 뚜렷한 원형 또는 타원형 세포들이 다수 존재

(2) Estrus (발정기)

  • 세포 형태: 각질화된 무핵 상피세포(편평세포)
  • 특징: 핵이 없는 각질화된 세포들이 주를 이룸 → 배란이 일어날 시점

(3) Metestrus (후발정기)

  • 세포 형태: 백혈구 + 일부 상피세포(각질화되지 않은 세포)
  • 특징: 백혈구가 다수 존재하며, 다양한 유형의 상피세포가 관찰됨

(4) Diestrus (발정간기)

  • 세포 형태: 백혈구가 다량 포함된 혼합 세포군
  • 특징: 세균 감염이 없는 한 백혈구가 매우 많으며, 상피세포는 상대적으로 적음

4. 실험 시 주의사항

 

  1. 채취 과정에서 질 점막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 피펫 삽입 시 강하게 밀어 넣지 않으며, 너무 깊게 삽입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2. 동일한 개체에서 반복적인 샘플링을 할 경우 일정한 시간에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생체 리듬에 따라 호르몬 변화가 다를 수 있으므로, 오전 9~11시 사이에 샘플링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3. 감염 예방을 위해 사용한 기구는 매번 멸균 처리해야 합니다.
    • 실험 후 피펫, 면봉 등을 멸균 및 폐기합니다.
  4. 염색 여부는 실험 목적에 따라 결정합니다.
    • 기본적인 발정 주기 확인에는 무염색 방법도 충분히 유용하지만, 정밀 분석이 필요할 경우 염색법을 사용합니다.

 

5. 실험의 응용

  • 생식 연구: 실험동물의 호르몬 변화 및 번식 능력 평가
  • 약물 실험: 생식 호르몬에 영향을 주는 약물의 효과 분석
  • 임신 여부 확인: 배란 상태 및 임신 가능성을 확인

 

 

Rat의 vaginal smear 방법은 발정 주기 분석을 위한 필수적인 기법으로, 질세포 형태를 통해 개체의 생식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번식 연구, 내분비 연구, 약물 평가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정확한 실험 수행을 위해 채취 및 분석 방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Methylene Blue 염색법 (Methylene Blue Staining)

Methylene blue(메틸렌 블루) 염색법은 생물학 및 미생물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색 방법으로, 주로 세포 구조를 시각적으로 구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히, vaginal smear(질 도말 검사)에서 질세포를 명확하게 관찰하는 데 유용한 방법입니다.


1. Methylene Blue 염색의 원리

메틸렌 블루는 염기성 염료(basic dye)로, 세포 내 음전하를 띠는 구조(예: 핵산, 리보솜, 핵막 등)와 결합하여 푸른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염색법을 사용하면 세포핵과 세포질이 더 뚜렷하게 보이게 됩니다.

  • 염기성 염료음전하를 띠는 세포 구조와 결합
  • 핵산(DNA, RNA), 리보솜 → 강한 염색
  • 세포질 → 연한 염색

 

2. 실험 준비물

(1) 시약 및 재료

  • 1% Methylene blue 용액 (일반적으로 수용액 사용)
  • 질 도말 샘플(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도말된 시료)
  • 증류수 또는 생리식염수 (0.9% NaCl)
  • 필터 페이퍼 또는 흡수지
  • 현미경 (10x, 40x 배율)

 

3. 실험 방법

(1) 질세포 도말 준비

  1. 멸균된 면봉이나 파스퇴르 피펫을 이용하여질세포를 채취합니다.
  2.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균일하게 도말한 후,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합니다.
  3. (필요시) 메탄올이나 에탄올을 이용하여 **고정(Fixation)**할 수 있습니다.
    • 고정 과정: 70%  13분 동안 처리한 후 건조.

(2) Methylene Blue 염색

  1. 1% Methylene blue 용액을 슬라이드 위에 충분히 떨어뜨립니다.
    (약 1~2분 동안 염색)
  2. 흐르는 증류수나 생리식염수로 과량의 염색약을 씻어냅니다.
  3. 필터 페이퍼나 흡수지를 사용하여 부드럽게 건조합니다.

(3) 현미경 관찰

  • 10x 배율로 전체적인 세포 분포 확인
  • 40x 배율로 핵의 모양 및 세포 형태 분석

 

4. 실험 결과 및 분석

 

(1) 발정 주기 단계별 Methylene Blue 염색 결과

발정 단계관찰되는 세포 형태Methylene Blue 염색 결과
Proestrus (전발정기) 둥글고 핵이 큰 상피세포 푸른색 핵이 명확하게 보이며, 세포질이 연하게 염색됨
Estrus (발정기) 각질화된 무핵 상피세포 세포질만 보이며, 핵이 거의 염색되지 않음
Metestrus (후발정기) 백혈구 + 상피세포 혼합 백혈구와 일부 핵이 있는 세포가 관찰됨
Diestrus (발정간기) 다수의 백혈구 다량의 백혈구가 진한 푸른색으로 염색됨

5. 실험 시 주의사항

  1. 염색 시간을 너무 길게 하지 않도록 주의
    • 과도한 염색은 배경이 너무 진해져서 세포 관찰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고정 과정(Fixation)이 필요한 경우
    • 핵을 더 명확히 보려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고정 후 염색하면 더 선명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염색 후 충분히 씻어낼 것
    • 잔여 염색약이 남아 있으면 세포 구조를 정확히 판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새로운 시약을 사용할 것
    • 오래된 Methylene Blue 용액은 염색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6. 응용 및 활용

  • 발정 주기 분석: Rat의 생식 주기 단계 확인
  • 미생물학 연구: 세균, 진균 등의 기본 염색
  • 세포 연구: 세포 형태 및 핵 구조 확인
  • 혈액 검사: 특정 백혈구 및 적혈구 분석

 

 

Methylene blue 염색법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질세포의 핵과 세포질을 선명하게 염색하여 랫트의 발정 주기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이를 통해 발정 단계에 따른 생식 상태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생물학적 연구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

 

 

 

300x250